2007년 6월 12일 화요일

스크랩) [인터뷰특강] 우리나라 국사책 믿으십니까

[인터뷰특강] 우리나라 국사책 믿으십니까

[한겨레] [제3회 인터뷰 특강- 거짓말 ③]
한홍구 vs 박노자 ‘한국사의 거짓말을 논쟁하다’
주입되는 모든 것을 검토하며 ‘역사 바로보기’를 훈련하라
▣ 김종옥 7·8기 독자편집위원

특강에 오기 전에 ‘학부모 총회’를 하러 아이들 학교에 갔다. 시간이 되자 ‘국민의례’를 시작했다. 태극기가 휘날리고 ‘국기에 대한 맹세’가 흘러나왔다. 그 비장한 서약이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미루더라도, 그 맹세가 박정희 정권 시절 정치적 의도에서 비롯된 치졸한 표절이라는 사실이 이미 <한겨레21>을 통해 밝혀졌건만 도대체 학부모 회의에 모여서까지 촌스런 거짓 맹세를 해야 하는지 답답하기만 했다. 조국과 민족을 위해 몸과 마음을 바치라는 섬뜩한 강요가 진창 속에 웅크린 부스럼두꺼비마냥 징그럽다.
해서, 기분 전환을 위해 저녁에 있을 <한겨레21> 특강을 생각해냈다. 아, 그래. 한홍구, 박노자 교수의 특강이 있지. 우리 역사 안에 얼마나 많은 거짓말이 있는가, 역사 서술가들은 얼마나 많은 거짓말을 했는가에 대해 실컷 얘기하는 신나는 저녁이 기다리고 있지.

박노자에 섭섭? 한홍구는 여럿이다?

사회를 보는 오지혜씨는 다른 날보다 조금 더 들떠 있었다. 인터뷰 특강의 두 간판스타를 좌우에 거느리게 된 기쁨에 그는 얼굴에 홍조를 띠었다. 청중의 열기도 뜨거워서 두 스타의 소개 인사에 환호가 터져나왔다. 정치적 지향이 같거나 비슷하다는 건 이렇게 중요한 문제다. 가족도 그 점에서는 양보가 안 된다. 박수를 치고 기대에 찬 미소를 지으면서 청중은 한순간 슬쩍 동지가 되어보기도 하는 것이다.
본격적인 논의에 들어가기에 앞서 오지혜씨는 “박노자 교수의 책을 읽다 보면 우리 국민 모두가 일렬로 서서 혼나는 기분마저 든다. 귀화까지 한 한국인으로서 그렇게까지 혼내는 것이 은근히 섭섭하다”고 농담을 던졌다. 박노자 교수는 이런 질문에 익숙한 것 같았다. 그는 망설이지 않고 “그야 뭐, 자기 자신을 야단치는, 그런 똑같은 심정으로…”라고 답했다. ‘자기 자신’이라는 표현에 감동받은 사람이 많았으리라.
이어 한홍구 교수에게는 활동 영역이 넓은 것을 지적하며 “심지어 ‘한홍구는 여럿이다’라는 말까지 있는데 어떻게 그 많은 작업을 감당하시나요?”라고 물었다. (예전에 박노해 시인에게도 독재정권에서 그런 의혹을 덧씌웠는데, 그때는 그가 조작된 거짓 인물인 것처럼 보이려고 억지를 쓴 것이었고 오늘 질문은 감탄이 섞인 찬사이니 세상이 변하긴 했다.) 한홍구 교수는 “물론 감당하기 어렵죠. 여기저기서 ‘빵꾸’가 나서 샙니다”라고 웃으며 답했다.
본격적인 토론은 박노자 교수가 역사 속의 거짓말에 대해 몇 가지 주제를 정해 묻고, 그에 대해 둘이서 각자 자신의 견해를 말하는 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박노자 교수가 준비해온 열 가지의 담론 주제를 다 소화하기에 시간은 너무도 짧아서, 예정시간을 훨씬 넘겨서까지 진행되었음에도 할 얘기의 3분의 1도 하지 못하고 아쉽게 끝났다는 사실을 미리 밝히며 몇 대목만을 소개한다.
"역사가 과거의 일을 그대로 보여주는 게 아니라 과거사에 대한 사회의 주류와 전문가 집단의 의견에 가깝고, 따라서 역사에 대한 힘있는 자의 주관, 나아가서는 거짓말이 당연한 진실로 둔갑돼 대중들의 일반적인 상식으로 자리를 잡으면 세상을 보는 눈 자체가 달라져 멀쩡한 사람이 눈뜬 맹인이 되는 것”이라는 ‘업계의 비밀’을 밝히면서 대담을 시작한 박노자 교수는 맨 처음 우리 국사 교과서 문제를 거론했다.

삼국은 과연 한나라였을까

박: 국정교과서의 고대 중세사 부분을 보면 고대 우리나라의 삼국이 과연 한 나라 사람으로 생각했을까, 그렇게 치열하게 싸우면서 그런 의식을 가졌을까 하는 의문이 듭니다. 자기네 영토 안에서 일어난 일은 다 자기 역사라고 하는 거짓말은 근대국가에서는 다 그랬지요.
한: 최근 보면 일단 영토를 규정해놓고, 그 안에서 일어난 것을 모두 우리 역사 속에 넣으려고 합니다. 근대국가가 역사를 서술하려다 보면 자부심을 부여하기 위해 역사를 올려잡기도 하고요. 약소국이고 어려운 시기에는 그럴 수 있지만, 이미 이 정도의 규모를 갖춘 국가에서는 그런 의도가 위험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박: 개화기 때 얘기를 해볼까요. 박은식, 신채호 같은 분들이 당시 단군을 선택한 것은 어쩔 수 없는 부분이었다고 인정하기는 하지만, 혈통 위주의 민족주의의 탄생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정복왕조의 의미로 단군을 부각시키면서 군사적으로 강력한 게 긍정적으로 서술되고, 또 그 속에서 여성의 역할은 내조자에 멈추게 되지요. 민족주의 역사가들의 한계는 무엇이었을까요?
한: 말씀하셨다시피 제국주의 침략이 시작된 상황이라는 걸 빼고 신채호를 읽을 수 없지요. 그가 가진 진짜 진보성은, 당시 자신이 얼마나 시대를 성찰하고 변화시켰는가를 보아야 할 것입니다. 당시에는 패배의식을 극복하기 위해 우리 고대사를 부각시킬 수밖에 없었을 겁니다.
박: 지당하신 말씀입니다. 미제국주의의 침략에 맞서 있는 이라크 독립군의 위치를 그와 똑같이 봐야 한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우리가 친일 청산을 외치면서도 한편에서는 과거 친일의 행태와 크게 다르지 않게, 미국의 요구에 따라 이라크에 파병하지 않습니까. 그건 모순이죠.
논의가 막 무르익을 무렵 이미 정해놓은 시간은 지나고 있었다. 박노자 교수는 준비했던 주제들을 아쉽게 건너뛰어 ‘남성 위주의 힘의 역사에서 벗어나 미래의 교과서에서 여성이나 장애인, 귀화인 등 약자와 소수자를 어떻게 기술해야 할 것인가’를 서둘러 물어야만 했다. 한홍구 교수는 전적으로 소수자 문제가 역사 속에 포함돼야 하지만 교과서에 실을 만한 수준으로 소수자의 역사가 축적됐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이 대목에서 박노자 교수는 크게 한숨을 쉬었다)고 지적하면서, 역사의 다양한 측면의 자료를 복원하고 축적하는 작업이 먼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소수자의 삶를 기록해야 한다

시간이 촉박한 가운데에서 많은 질문이 쏟아져 곤욕을 치른 뒤 마무리로 한홍구 교수는 역사의 거짓말을 거둬내기 위해서는 자신의 관점에서 역사를 제대로 보아야 한다면서 “합리적인 의심을 통해, 정제된 정보를 가지고, 스스로의 눈으로 걸러서 진짜를 가려내는 훈련”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민중은 역사 속에서 무수하게 속아왔지만 이제는 속지 않을 능력, 속았지만 바로잡을 능력을 키워나가야 하며 그것이 ‘역사 바로보기’라는 것이다.
박노자 교수는 “민중의 고통과 투쟁을 우선시하고 미래의 민중의 복지와 자율성을 지향하는 민중적 주관의 입장에서 역사를 써야 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외부에서 내게 주입하려는 모든 것을 내 입장에서 한 번 걸러보면 거짓말을 좀은 가려낼 수 있지 않을까? 물론 그리 살면 좀 피곤하겠지만”이라고 덧붙였다.
시간에 쫓겨 할 얘기를 너무나 많이 남기고 특강이 끝나버렸고 아쉬운 마음은 오늘도 길고 긴 팬 사인회의 줄로 이어졌다. (이번에는 스타 학자와 얼굴을 맞대고 카메라폰으로 사진을 찍으려는 팬들 덕에 시간이 더 길어졌고, 이에 따라 경비 아저씨의 얼굴도 일그러졌다.)

ⓒ 한겨레( http://www.hani.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댓글 없음: